| 체크하기 |
용어 |
정의 |
|
|
베블런 효과 |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수
|
베블런 효과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는 수요의 법칙에 반하는 재화를 베블런재라 부른다. 사치재 또는 명품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재화는 가격이 비쌀수록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과시 욕구를 반영한 소비현상을 베블런효과(Veblen's effect)라고 부른다.
|
|
파생금융상품 |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
|
파생금융상품
파생금융상품(financial derivatives)은 그 가치가 통화, 채권, 주식 등과 같은 기초금융자산(underlying asset)의 가치변동에 의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계약형태에 따라 크게 선도계약(forward contracts), 선물(futures), 옵션(options), 스왑(swaps) 등으로 구분된다.
|
|
낙수효과 |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대기업과 고소득층
|
낙수효과
정부가 경제정책으로 대기업과 고소득층 또는 부유층의 소득과 부를 먼저 늘려주게 되면이들의 소비와 투자 증가를 통해 전체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결국에는 중소기업과 저소득층도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주장이다.
|
|
고정금리 |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
|
고정금리
고정금리란 최초 약정한 금리가 만기때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금리를 의미한다.
|
|
고용률 |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
|
고용률
고용률은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집계된 15세 이상 인구(노동가능인구)에 대해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취업자/15세 이상 노동가능 인구 X100
|
|
고통지수 |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으
|
고통지수
소비자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을 더한 값으로 1975년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A. Okun)이국민의 삶에 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만든 국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실업자는 늘고 물가는 높아져 한 나라의 국민이 느끼는 삶의 고통이 늘어남을 의미한다.
|
|
자발적실업 |
자발적 실업이란 일할 의사가 있어 고
|
자발적실업
자발적 실업이란 일할 의사가 있어 고용되기를 원하지만 현재의 임금수준이 낮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일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는 실업이다.